#분권화

7건이 검색 되었습니다.

주민투표제, 주민소송제 보완하고 주민소환제 도입 시급

 경실련은 민선 4기를 구성하는 5. 31 지방선거를 맞아 참여정부에서 가장 강조한 지방분권 국정과제와 관련하여 정부가 수립한 지방분권 5개년 종합실행계획의 추진 정도와 내용을 평가하여 발표하였다.    경실련은 지방자치 활성화를 위한 바람직한 의제를 도출하는 일환으로 지방자치 전문가 대상 설문조사와 경실련 지방자치위원회 평가를 거쳐 참여정부의...

발행일 2006.04.13. 보도자료

지방분권화 시대의 지방의회 역할 활성화 방안 토론회

  경실련은 지난 수년간 자치와 분권 이라는 기치를 내걸고 학계, 시민단체들과 더불어 지방자치의 성공적인 정착과 활성화를 위해 꾸준히 노력해 왔습니다.   새롭게 출범한 참여정부는 지방분권 정착을 국정핵심과제로 선정하여 국가 운영의 패러다임 전환을 이루겠다고 합니다. 이에 따라 지방자치분야의 각 부문별 제도개혁을 위해 정부를 비롯한 각계의 ...

발행일 2003.06.05. 보도자료

노무현 정부의 분권화 정책과 실천과제

  2001년 3월 22일, 전국 400여개 시민단체와 지방자치 전문가들이 지방자치의 정착과 분권의 확대를 위해 지방자치헌장을 채택, 발표하였다. 2년이 지난 오늘 지방자치헌장 선포 2주년 기념위원회에서는 <노무현 정부의 분권화 정책과 실천과제>를 주제로 시민대토론회를 3월 22일 오전, 세종문화회관 컨퍼런스홀에서 개최하였다. ...

발행일 2003.03.22. 보도자료

지역균형발전과 민주적 지방자치를 위한 지방분권국민운동 창립

*지역균형발전과 민주적 지방자치를 위한 지방분권국민운동 대표자회의 의장  김 형 기 지방분권운동강원본부 상임대표             안동규 지방분권운동광주전남본부 상임대표         나간채 지방분권운동대전충남연대 상임공동대표     김주일 지방분권운동대구경북본부 상임대표         김형기 지방분권부산운동본부 공동대표           ...

발행일 2002.12.13. 보도자료

차기정부개혁과제 : 지방자치

< 지방자치분야 차기정부 개혁과제 > Ⅰ. 지방자치분야 현황 및 문제점 1. 지방으로의 권한 이양 미비 및 수도권 집중 심화 - 현 정부는 “지방분권”을 주요 공약으로 천명했으나 오히려 경제력과 인적자원 등이 서울과 수도권으로 집중됨. -「중앙행정권한의지방이양등에관한법률」과 「지방이양추진위원회」를 통해 어느 정도의 행정사무가...

발행일 2002.11.08. 보도자료

한나라당, 민주당의 지방선거공약 발표에 대한 입장

「바른선거유권자운동」(경실련 등 40여개 시민사회단체 참가)은 최근 지방선거 후보자 등록 시점에 맞춰 한나라당과 민주당이 발표한 지방선거 공약 발표 내용을 분석, 논평한다. 1) 총평   양당의 지방선거 공약은 지방자치의 활성화와 지방 경쟁력의 강화라는 측면과 동떨어진, 선거철마다 인용되는 선심성, 전시성 공약임을 밝힌다. 지방선거의 공약...

발행일 2002.06.05. 보도자료

6.4 지방선거에 대한 경실련 논평

  제2기 지방자치시대를 이끌어갈 지방선거가  드디어 끝났다. 그러나 선거과정과 결과를 지켜보면서 다음과 같이 몇가지 유감을 밝히고자 한다.   우선 이번 선거는 예전의 고질적인 금권, 관권선거 시비는 많이 줄었으나  흑색 비방선거가 극도에 달하였으며 여야가 마치 동서를  반분한 듯 지역분할 구도가 다시  재현됨으로써 선거 이후의 부작용이 ...

발행일 2000.02.10. 보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