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9건이 검색 되었습니다.

[논평] 미-러 신전략무기감축조약(New START) 환영한다

  미-러 신전략무기감축조약(New START) 연장을 환영한다   참 잘했어요! 러시아와의 신전략무기감축조약(“New START”)의 연장에 미국이 동의함에 따라 두 국가가 보유한 전략 핵무기 자산 중 △핵탄두 총 1,550개, △발사대 총 800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전략폭격기 총 700기로 2...

발행일 2021.02.04. 보도자료

사드 배치 논의, 국익·안보와 무관한 정치적 공론화에 심각한 우려를 표명한다.

사드 배치 논의, 국익·안보와 무관한 정치적 공론화에 심각한 우려를 표명한다. 새누리당은 오늘(1일) 의원총회를 열고 미국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인 사드(THAAD)의 한반도 배치 문제에 대한 당 내 의원들의 의견을 수렴한다고 밝혔다. 새누리당이 사드 배치의 공론화에 나서면서 4월 임시국회는 사드 배치가 주요 쟁점으로 부각될 전망이...

발행일 2015.04.01. 보도자료

북한 붕괴론’의 ‘망령’이 아직도 떠돌고 있다_전현준 동북아평화협력연구원장

'북한 붕괴론'의 '망령'이 아직도 떠돌고 있다   전현준 동북아평화협력연구원장 김정은 정권 출범 이후 3년 가까운 시간이 경과했지만 ‘김정은 정권붕괴론’이 아직도 회자되고 있다. 그 배경은 김정은 어린 나이와 경험 일천, 잦은 권력엘리트 교체, 장성택 처형, 김정은 건강 문제 등이다. 그러나 이것은 현 상황에서 볼 때 ‘연목구...

발행일 2015.03.12. 칼럼&스토리

마크 리퍼트 주미대사 피습사건에 대한 경실련 입장

마크 리퍼트 주미대사 피습사건에 대한 경실련 입장 어제(5일)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민화협) 초청 조찬 강연 중 발생한 마크 리퍼트 주한 미국 대사에 대한 피습 사건은 명백한 테러행위로서 어떤 사유로도 정당화 될 수 없으며 용인되어서도 안 된다. 경실련은 당국의 엄정한 수사를 바탕으로 철저한 진상규명과 단호한 처벌을 촉구한다. 또한 이번 ...

발행일 2015.03.06. 보도자료

전작권 환수 재연기는 주권국가로서 자주성에 큰 상처

전작권 환수 재연기는 주권국가로서 자주성에 큰 상처   한미 양국은 23일(현지시각) 열린 한·미 연례안보협의회의(SCM)에서 내년으로 예정되어 있던 전시작전통제권을 무기한 연기하는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대신 한·미 양국은 ▲한반도와 역내 안보환경 변화 ▲핵심 군사 능력 확보 ▲북핵 대응 능력 구비 등을 전작권 전환 조건으로 합의했다.   ...

발행일 2014.10.24. 보도자료

한·미, 제재와 압박에서 벗어나 북핵문제 해법 제시해야

한·미, 제재와 압박에서 벗어나 북핵문제 해법 제시해야 비핵화 대안 없는 실망스러운 회담에 그쳐 대북압박 위주의 군사협력 강화로 한반도 긴장 지속될 듯 박근혜 대통령과 오바마 대통령은 지난 25일 정상회담을 갖고 ‘한미관계 현황 공동설명서’를 발표했다. 이번 한·미정상회담은 북한이 박 대통령의 드레스덴 구상을 비판하고 4차 핵실험 관측까지...

발행일 2014.04.28. 보도자료

한미일 삼각 안보체제 너무나 위험하다_김용수 동국대 북한학과 박사과정

한미일 삼각 안보체제 너무나 위험하다. 김 용 수 (동국대 북한학과 박사과정 / 경실련통일협회 회원) 미국은 2차 대전 직후 전 세계 GDP의 50%를 차지하고 군사비 지출 랭킹 10위까지의 국가들이 지출하는 군사비를 합친 액수보다 더 많은 군사비를 지출할 정도로 막강한 국력과 군사력을 자랑해왔다. 그러나 전 세계 기축통화로서 달러...

발행일 2014.04.25. 칼럼&스토리

정부는 더 이상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행사에 침묵하지 말라!

정부는 더 이상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행사에 침묵하지 말라!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남북관계와 동북아 정세에 심대한 악영향 박근혜 정부, 다자간 평화협정으로 나아가야   지난 3일 미국과 일본은 외교국방장관 연석회의(2+2 회의)를 통해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행사를 인정했다. 미국은 한국에 대한 고려 없이 위안부 문제, 역사교과서 왜곡, 독도영...

발행일 2013.10.31. 보도자료

20030321_미국의 對이라크 전쟁을 절대 반대한다.

   온 세계가 염려하던 미국의 이라크 侵攻이 드디어 이루어졌다. 그리고 한국정부도 전쟁을 지지하고 전투부대는 아닐지라도 파병을 단행하는 결정을 했다. 그러나 우리는 이 전쟁을  결코 정당화될 수 없는 전쟁으로 보고 이를 반대하고자 한다. 우리는 물론 이라크의 대량 살상무기 개발을 반대하고 보다 장기적이고 강력한 對이라크 무기사찰을 지지한다. 그...

발행일 2003.03.21. 보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