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27건이 검색 되었습니다.

[17대총선]교육분야 정당정책 꼼꼼히 들여다보기

  서민 경제에 가장 부담이 되는 분야를 꼽으라면 단연 집값 문제와 더불어 사교육비 문제일 것이다. 각 정당들도 이에 발맞춰 교육 정책에 대한 다양한 공약을 쏟아내고 있다. 고교평준화 : 확대(민주노동당) vs 유지하되 교육과정 특성화(열린우리당, 민주당) vs 대대적 손질(한나라당) vs 폐지(자민련)     가장 큰 논란이 되고 있...

발행일 2004.04.08. 보도자료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 관련 교육부 결정에 대한 경실련 입장

윤덕홍 교육 부총리가 26일 전교조와 합의를 통해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에 대한 정부 입장을 최종적으로 밝혔다. 그 입장은 대학입시 전형 사무를 차질 없이 진행할 수 있도록 금년만 유예한 후, 사실상 NEIS 체제를 포기하는 것이다. 경실련은 이러한 결정은 문제를 매듭짓기보다 오히려 문제를 증폭시키는 결과를 낳고 있어 심히 우려하지 않을...

발행일 2003.05.28. 보도자료

2002대선 공약 검증 19 : 공교육정상화

대선 후보 교육(공교육 정상화 관련) 공약 검증 <평가검증위원> 강태중(중앙대 교육학과, 경실련 교육위원회 부위원장) 김재춘(영남대 교육대학원, 경실련 교육위원회 정책위원) 김현철(성균관대 교육학과, 경실련 교육위원회 정책위원) 공교육 정상화 비교표 항 목 이 회 창 노 무 현 교...

발행일 2002.12.16. 보도자료

대선후보 공약검증 8- 교육정책 : 대학입시제도 분야

< 경실련 정책검증팀> 강태중(중앙대 교육학과, 경실련 교육위원회 부위원장) 김현철(성균관대 교육학과, 경실련 교육위원) 김재춘(영남대 교육대학원부원장, 경실련 교육위원) 1. 쟁점별 후보 입장 및 문제점 대선 후보들의 교육에 관한 정책을 살펴보면, 입장이 서로 다른 점보다 비슷한 점들이 먼저 눈에 띈다. 이를테면, 교육의 주요 ...

발행일 2002.12.03. 보도자료

차기정부개혁과제 : 교육 분야 및 사회복지 분야

<교육분야 차기정부 개혁과제> Ⅰ. 교육분야 현황 및 문제점 - 교육부를 교육인적자원부로 개칭하는 등의 변화를 통하여 ‘교육=인력 양성’이라는 정책이념 표방하며 교육을 수단적 측면에 치우쳐 강조함으로써 교육을 통하여 얻어야 할 좀 더 근본적인 효과를 상실하게 됨. 전인 교육, 사회적 자본, 기초 학문 등의 부실 초래. - 과...

발행일 2002.11.08. 보도자료

학생의 교사집단폭행에 관한 경실련 성명

지난 12일 시험 감독을 하던 교사가 학생에 의해 집단 폭행을 당한 사실 에 대해 경실련은 개탄과 우려를 금할 수 없다. 교사 폭행은 우발적이고 일회적 사건이 아니라, 몇 년 전부터 교사가 학부모로부터 폭행을 당하 는 교육현실의 연장선상에 있으며, 교권이 실추되고 교사의 권위가 땅에 떨어진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 이러한 사태가 지속된다면 학교교육...

발행일 2001.05.17. 보도자료

' 두뇌한국21 이대로 추진되어야 하나?' 토론회

' 두뇌한국21 이대로 추진되어야 하나? '토론회 일시 : 1999년 6월 28일 2시 -6시30분 장소 : 경실련 강당 주최 : 경실련 교육개혁위원회 발제 1  ‘두뇌한국 21’ 사업 개요  및 분석 한민구(한국학술진흥재단 사무총장/서울대 전기공학부 교수) 발제2 비민주적 '두뇌한국 21'과 대학정책 전면 백지화해야 한다 이재윤 ...

발행일 2000.02.23. 보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