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형건축비

9건이 검색 되었습니다.

[보도자료] 부풀려진 기본형 건축비, 2005년 이후 150조원 바가지

부풀려진 기본형 건축비, 2005년 이후 150조원 바가지 - 평당 약 120만원, 가구당 4천만원, 10년 동안 430만 가구 바가지 씌웠다 - 실제 공사비인 표준건축비의 2배인데, 세부 내역 산정근거 자료 공개거부 - 업자들 이익수단으로 변질된 기본형 건축비 폐지하고, 새 법정 건축비 제시해야 부풀려진 기본형 건축비로만 부풀려진 분양가가 2...

발행일 2019.04.18. 보도자료

서초 우성1차 재건축아파트 분양가 검증

정부가 정한 땅값과 건축비는 2,200만원 vs 분양가는 4,500만원 - 분양가상한제 폐지 이후 정부가 수수방관하며 고분양가 방조 - 지금 당장 분양가상한제 도입하고 분양원가 공개하여 집값거품 제거해야 서민들은 꿈꿀 수도 없는 부자들의 분양 잔치에 정부는 없었다. 어제(7일) 분양 마감된 서초우성재건축 아파트는 평균분양가 4,500만원, 3...

발행일 2018.11.12. 보도자료

문재인 정부는 기본형건축비를 투명히 공개하라

문재인 정부는 기본형건축비를 투명히 공개하라 기본 정보도 없고 산출근거도 공개 못하는 기본형건축비 인상으로 소비자부담만 증가한다 분양가상한제의 건축비 기준이 되는 기본형건축비가 지난 2일 고시됐다. 기본형건축비는 매년 3월과 9월 2회 고시된다. 이번에 고시된 금액은 3.3㎡당 평균 627만원으로 직전(‘19.9월)보다 2.65% 상승했다. 그...

발행일 2018.03.07. 보도자료

기본형건축비 인상은 건설사 수익 보장위한 특혜이다

기본형건축비 인상은 건설사 수익 보장위한 특혜이다 - 기본형건축비의 산정근거와 세부내역을 공개하라 국토부가 분양가상한제 아파트의 분양가 산정을 위한 기본형건축비를 평당 611만원으로 고시했다. 3월 고시액보다 평당 13만원, 2.1%가 상승했으며, 기본형건축비가 최초로 고시된 2005년 339만원의 1.8배 까지 상승했다. 하지만 국토부가 수십...

발행일 2017.09.15. 보도자료

김현미 국토부장관이 할 수 있는 집값 안정책 3. 기본형건축비 인하

국토부가 결정, 고시하는 기본형 건축비가 부풀려졌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경실련은 국토부 의지로 할 수 있는 집값안정책 세 번째로 [기본형 건축비 인하]를 발표했다. 어제 국토부가 8.2 대책 후속조치로 분양가상한제의 민간적용을 추진하겠다고 밝혔고 기본형 건축비는 민간아파트 분양가 인하효과를 결정짓는 중요한 변수이다. 하지만 경실련 주장대로라면...

발행일 2017.09.06. 보도자료

위례신도시 분양원가 분석 3. 민간분양_②주상복합 용지

민간분양 평균 건축비 3.3㎡당 889만원, 위례신도시 분양가심사내역을 공개하라 - 주상복합용지 분양 아파트 건축비 법정상한보다 64%, 세대당 1.4억 비싸 - 같은 민간분양과 비교해도 3.3㎡당 158만원, 공공분양보단 233만원 높아 - 주거안정 저해하는 공공택지 민간매각을 중단하라 경실련이 위례신도시 공공분양과 아파트용지 민간분양 주...

발행일 2014.07.11. 보도자료

위례신도시 분양원가 분석2.민간분양_①아파트용지

공기업과 건설사의 부당이득 보장하는  공공택지 민간매각을 중단하라 - 위례 민간분양건축비, 법정건축비보다 36%, 여타 공공분양보다 과도하게 높다. - 공공택지는 토지임대부분양․공공임대 등 서민주거안정에만 사용되어야 경실련이 위례신도시에서 분양했던 민간분양 아파트 건축비를 분석한 결과 법정건축비보다는 36%, 같은 지역에 고분양한 보금자리 ...

발행일 2014.07.11. 보도자료

법정 건축비, 실제 건축비보다 과도하게 높아

실제보다 150만원/3.3㎡ 높은 법정건축비, 분양가상한제에서도 과도한 업계 이득 보장 - 2013년 분양한 보금자리주택 실제 소요된 건축비는 3.3㎡당 최대 380만원, 토지비와 다르게 건축비는 아파트 종류에 따라 큰 차이 없어 - 분양가상한제 폐지하면 ‘묻지마 고분양’으로 소비자 현혹해 거품 키울 것   경실련이 정보공개청구를 통해 SH공사로...

발행일 2014.02.12. 보도자료

민간 분양아파트 85%, 법정 건축비보다 비싸

지난 2년간 서울에서 분양한 민간아파트 85%, 법정건축비 보다 비싸게 분양했다. - 분양가상한제로 좋은 아파트 짓지 못하고 이윤 적다는 것은 거짓말 - 상한제 폐지해도 분양가 상승하지 않을 것이란 주장도 현실과 달라 정부와 여당이 2월 임시국회에서 분양가상한제 폐지를 밀어붙일 예정인 가운데 2년간 서울에서 분양한 대부분의 민간아파트 건축비...

발행일 2014.01.28. 보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