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

325건이 검색 되었습니다.

[칼럼] 개성공단 실무회담 : 남북 모두 잘했다_김영윤 남북물류포럼 회장

개성공단 실무회담: 남북 모두 잘했다     김영윤 남북물류포럼 회장       개성공단에 대한 북한의 기본 생각   지난 7월 7일 타결된 개성공단 실무회담 합의서 내용과 이전의 정황으로 볼 때, 북한이 가지고 있는 개성공단에 대한 기본적인 생각은 개성공단을 재가동하고 활성화를 원하는 것이지만, 그 내용과 형태는 향후 남북 ...

발행일 2013.07.09. 칼럼&스토리

[7/10] 10차 경실련통일포럼

  참가신청하기>>   

발행일 2013.06.28. 공지사항

[칼럼] 한반도를 떠도는 재냉전 유령_김근식 경실련통일협회 운영위원장

  한반도를 떠도는 재냉전 유령     김근식 경실련통일협회 운영위원장     한반도에 재냉전이라는 유령이 배회하고 있다. 이른바 ‘격’ 논란으로 남북 대화가 무산되는 현실을 목도하면서 상식과 사실 대신 몰상식과 왜곡이 판을 치는 비정상의 한반도야말로 재냉전이라는 시대착오적 유령 말고는 달리 설명할 방법이 없다.   김양건만이...

발행일 2013.06.25. 칼럼&스토리

[칼럼] 전쟁과 분단, 그리고 우리가 할 일__박순장 민화회 회장

  전쟁과 분단, 그리고 우리가 할 일   박순장 민화회 회장     올해로 한반도가 우리민족의 의사와는 관계없이 주변강대국들의 이해관계에 따라 분단 된지 어언 68년이 되어 가고 있다. 한반도는 북서쪽의 중국, 북동쪽의 러시아, 남동쪽의 일본, 태평양 너머의 미국 간에 위치하여 지정학적으로 북방의 대륙세력(중국, 러시아)과 ...

발행일 2013.06.19. 칼럼&스토리

[성명] 남북당국회담 무산에 따른 경실련통일협회 입장

  전략적 로드맵 부재를 여실히 보여준 남북회담    박근혜 정부가 바로잡아야 할 것은 격(格)이 아닌 남북관계 남북 모두 적극적으로 대화에 임하는 전향적인 태도를 보여야     남과 북은 수석대표의 격(格)을 놓고 절충점을 찾지 못한 채 오늘(12일) 열릴 예정이던 당국회담이 결국 무산되었다. 회담 일시, 장소, 의제까지 모두 ...

발행일 2013.06.12. 보도자료

[칼럼] 남북 장관급 회담 기대 크다_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남북 장관급 회담 기대 크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오는 12일 6년 만에 남북 장관급 회담이 개최된다. 장관급 회담은 6·15 공동선언을 이행하는 남북관계의 중추적 협의체로 출발했다. 김대중 정부 시절에는 개성공단, 금강산관광, 이산가족 상봉 등과 같은 남북 간 현안문제를 협의했다. 노무현 정부 때는 핵문제, 정치 ...

발행일 2013.06.11. 칼럼&스토리

[성명] 남북당국회담에 따른 경실련통일협회 입장

남북당국회담에 바란다.   대결과 대립에서 화해·협력 국면의 전환점으로 삼아야     어제(6일) 북한은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 성명을 통해 우리 정부가 지속적으로 요구해온 당국 차원의 대화에 응하겠다고 발표했다. 이어 우리 정부 역시 12일 서울에서 장관급 회담을 열자는 제안으로 남북관계는 극적인 변화를 맞이하게 되었다.   ...

발행일 2013.06.08. 보도자료

[칼럼] 밑져야 본전이다_노귀남 동북아미시사회연구소 연구위원

밑져야 본전이다     노귀남 동북아미시사회연구소 연구위원     (물안개 속 신의주-새벽까지 건축조명이 남아있다.)   그냥, 사는 땅을 지켜본다. 그것도 안도 밖도 아닌 압록강 변경에서 살면서 이해관계에 얽히지 않고 보기만 해도 건질 게 꽤 많다. 밑져야 본전이니 걸릴 게 없고 발 닿는 대로 귀 열린 대로 보고 듣는다. 북중관계는...

발행일 2013.06.04. 칼럼&스토리

[현장스케치] 박근혜 정부 100일 평가토론회④ -남북관계(통일)

   “박근혜 정부 100일, 통일·외교·안보분야 평가와 전망”     박근혜 정부 대북정책 전략부재 및 구체성 모호 다양한 해법속에 대화를 통한 공통적인 해결책 제시        ○ 일 시 : 5월30일(목) 오후 2시    ○ 장 소 : 경실련 강당    ○ 사 회 : 전영선 : 건국대 통일인문학연구단 교수...

발행일 2013.05.31. 보도자료

[칼럼] 한국에 통일 역량이 있는가_김호균 경실련 상임집행위원장

한국에 통일 역량이 있는가   김 호 균(경실련 상임집행위원장)       개성 공단 폐쇄로 귀결된 남북 대치상황은 한국 사회가 과연 통일할 역량이 있는지 강한 의문이 들게 만들고 있다. 북한의 도발과 도전에 대응하면서 보인 소아병적인 대응은 남북간 긴장을 완화하기는커녕 오히려 증폭시켰다. 북한을 진정시키면서 냉정한 자세를 촉구하기보...

발행일 2013.05.27. 칼럼&스토리

[6/2] [콕스파티] 2030 평화,통일,북한 테이블토크 파티

  >> 참가신청하기

발행일 2013.05.21. 공지사항

[칼럼] 분단 2세대를 위한 편지_전영선 경실련통일협회 이사

분단 2세대를 위한 편지       전영선(경실련통일협회 이사, 건국대 HK연구교수)          2011년 12월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사망으로 한반도 북쪽에는 김정은 체제가 수립되었다. 김정은 제1부위원장체제의 등장은 문화적인 관점에서 본다면 온전한 분단세대의 등장, 한반도 분단 2세대의 시작을 의미한다. 한반도 분단...

발행일 2013.05.20. 칼럼&스토리

[칼럼] 개성공단의 마지막 숨소리, 이렇게 지켜만 볼 것인가?_임을출 경실련통일협회 정책위원장

개성공단의 마지막 숨소리, 이렇게 지켜만 볼 것인가?   임을출 경실련통일협회 정책위원장       개성공단에 체류하고 있는 우리 국민들이 철수하고, 완전 폐쇄 가능성도 커지면서 북한의 복잡한 속내가 하나둘 드러나 우리의 눈길을 끈다. 당시 북한이 보여준 일련의 입장들을 보면 우리 정부의 개성공단 체류인원 전원 철수 조치를 강도높게 비...

발행일 2013.05.14. 칼럼&스토리

[칼럼] 하나를 위한 둘의 약속_최범산 항일유적연구소

하나를 위한 둘의 약속                                   최 범 산 항일유적연구소        <백두산 설경> 우리민족의 영산(靈山)으로 불리는 백두산(白頭山)은 높이 2,750m로 북위 41˚01´, 동경 128˚05´에 위치하고 있으며 한반도에서 가장 높은 산이다.   백두산은 개마...

발행일 2013.05.06. 칼럼&스토리

[칼럼] 김정은 체제 1년과 핵전략의 변화_김근식 경실련통일협회 운영위원장

  김정은 체제 1년과 핵전략의 변화     김근식 경실련통일협회 운영위원장          2012년 4.13일 국방위 제1위원장 취임으로 공식출범한 김정은 체제가 1년을 경과했다. 지난 1년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대내적으로 경제개혁과 정치안정을 추구하는 것과 달리 대외적으로는 김정은 체제가 일관되게 강경과 대결 기조를 고...

발행일 2013.04.30. 칼럼&스토리

[~5/31] 백두산 및 북-중 접경지역 평화문화탐방단 모집(6/29~7/4)

 

발행일 2013.04.30. 공지사항

[성명] 개성공단 대화제의에 대한 경실련통일협회 입장

개성공단 정상화를 위한 지속적인 대화제의 필요     北 대화제의를 즉각 수용해야 특별재난구역 선포와 특사파견을 통해 개성공단 정상화에 나서야         통일부는 오늘(25일) 개성공단 근무자들의 인도적 문제 해결과 개성공단 정상화 등을 논의하기 위한 남북 당국간 실무회담 개최를 북한에 제의하고, 대화 거부시 중대조치를...

발행일 2013.04.25. 보도자료

日 평화헌법 9조 개정에 반대하는 韓-日 시민단체 연대 메시지

    [연대지지 메시지]   일본은 한반도와 동북아의 평화를 위해 반드시 평화헌법을 지켜야 합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이하 경실련)은 최근 들어 급속히 우경화 되고 있는 일본 아베정권에 심각한 우려를 표한다. 무엇보다 "국제 평화를 성실히 희구하고…….무력의 행사를 영구히 포기한다." 는 내용의 평화헌법...

발행일 2013.04.22. 보도자료

[칼럼] 성큼 다가선 ‘대북 대화’의 기회_백학순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성큼 다가선 ‘대북 대화’의 기회     백학순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4월 11일부터 한미 양국이 북한에 대해 대화를 제의했고, 북한은 이에 대해 조평통, 외무성, 인민군 최고사령부, 국방위원회 등을 통해 일련의 반응을 보였다. 한미 양국은 북한이 대화를 거부했다고 해석하면서 '비핵화와 관련된 의미있는 조치'를 대화...

발행일 2013.04.22. 칼럼&스토리

[5/4] 두근두근 봄 맞이 산행

 

발행일 2013.04.19.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