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17건이 검색 되었습니다.

[모집] 경실련 블로그 '경이로운 기자단' 3기 모집 (~6/30)

▶ 경실련, 어떤 곳일까?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1989년, '시민의 힘으로 경제정의와 사회정의를 실현하자'는 뜻을 모아 만들어진 NGO입니다. UN 경제사회이사회(ECOSOC)의 특별 협의지위를 획득하여 국내 뿐만 아니라 세계에도 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정부 보조금은 받지 않고 건전한 재정과 독립성을 가지고 운영하고 있습니다. 경실...

발행일 2024.06.10. 공지사항

[모집] (사)경제정의연구소 「ESG 아카데미 1기」 모집 (~6/23)

  ▶ (사)경제정의연구소는 어떤 곳일까? (사)경제정의연구소는 1990년 5월, 우리사회의 경제적 균형발전과 공정분배를 실현하기 위해 설립된 사단법인입니다. 특히 경제정의지수(KEJI index)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윤리를 강조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개발한 평가 모형으로 KOSPI 상장기업의 회계 정보 자료를 활용하여 기업활동이 사회...

발행일 2024.06.04. 공지사항

[현장스케치] 경실련 제22대 총선 청년서포터즈 수료식

경실련 제22대 총선 청년서포터즈 수료식 - 유권자의 현명한 선택을 도왔던 한 달의 결실 - 이가희 수습간사 4월 12일 금요일, 경실련 강당에서 제22대 총선 청년서포터즈 수료식이 진행되었습니다. 1달 동안 총 6명의 청년들이 이번 서포터즈에 참여하여 정쟁선거가 아닌, 정책선거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를 꾸준히 냈습니다. 특히, 우리 사회 현안에...

발행일 2024.04.15. 칼럼&스토리

[현장스케치] 경실련 제22대 총선 청년서포터즈 발대식

경실련 제22대 총선 청년서포터즈 발대식 - 정책 선거의 첫걸음 발대식 생생 비하인드 - 문규경 회원미디어팀 간사   3월 11일, 경실련과 정책 선거를 만드는 『제22대 총선 청년서포터즈』 발대식이 경실련 강당에서 열렸습니다. 이번에 선발된 서포터즈 구성원은 총 6명으로, 2차에 걸친 선발 과정을 당당히 통과하였습니다. 총선이 1달정도 남...

발행일 2024.03.15. 칼럼&스토리

[현장스케치] 경실련 경이로운 기자단 2기 수료식

경실련 경이로운 기자단 2기 수료식 - 밝은 미소가 가득했던 수료식 생생 비하인드 - 문규경 회원미디어팀 간사   2월 28일, 경실련과 이로운 사회를 만드는 『경이로운 기자단 2기』 수료식이 경실련 강당에서 열렸습니다. 이번에 수료한 기자단 구성원은 총 6명으로, 경제팀과 사회팀으로 나뉘어져 활동하였습니다. 2달이라는 시간동안 청년의 시각...

발행일 2024.03.12. 칼럼&스토리

[모집]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경실련 청년서포터즈 모집 (~3/3)

▶ 경실련, 어떤 곳일까?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1989년, '시민의 힘으로 경제정의와 사회정의를 실현하자'는 뜻을 모아 만들어진 NGO입니다. UN 경제사회이사회(ECOSOC)의 특별 협의지위를 획득하여 국내 뿐만 아니라 세계에도 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정부 보조금은 받지 않고 건전한 재정과 독립성을 가지고 운영하고 있습니다. 경실...

발행일 2024.02.21. 공지사항

[현장스케치] 경실련 경이로운 기자단 2기 발대식

경실련 경이로운 기자단 2기 발대식 활기가 가득했던 발대식 현장 속으로   1월 12일, 경실련과 이로운 사회를 만드는 『경이로운 기자단 2기』 발대식을 경실련 강당에서 진행했습니다. 이번 기자단 모집은 2023년 12월 11일부터 2024년 1월 1일까지 3주간 진행되었고 많은 청년들이 경실련 활동에 문을 두드렸습니다. 최종 선발된 기자단...

발행일 2024.01.18. 칼럼&스토리

[현장스케치] 경실련 경이로운 기자단 1기 수료식

[월간경실련 2023년 9,10월호] [현장스케치] 경실련 경이로운 기자단 1기 수료식 - 희망찬 포부가 가득했던 수료식 생생 비하인드 - 문규경 회원미디어국 간사 8월 30일, 경실련과 함께 이로운 사회를 만드는 『경이로운 기자단 1기』 수료식이 경실련 강당에서 열렸습니다. 이번에 수료한 기자단 구성원은 총 7명으로, 경제팀과 사회팀으로...

발행일 2023.09.22. 칼럼&스토리

[인터뷰] ‘2022 청년 구의원에게 묻다’ 우종혁·신정태 의원

[월간경실련 2022년 7,8월호-인터뷰] “청년 정치인의 좋은 선례가 되겠습니다.” - ‘2022 청년 구의원에게 묻다’ 우종혁·신정태 의원 인터뷰 - 문규경 회원미디어국 간사 6월 1일에 치뤄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청년 정치인의 활약이 돋보였습니다. 이를 증명하듯, 역대 최연소 타이틀을 거머쥔 의원들을 지역 곳곳에서 찾아볼 수 ...

발행일 2022.07.29. 칼럼&스토리

[활동가가 주목하는 이슈] 당신의 주변은 안녕하십니까?

[월간경실련 2022년 5,6월호-활동가가 주목하는 이슈] 당신의 주변은 안녕하십니까? - 죽음까지 외로운 사람들 - 문혜리 정책국 간사   5월은 무슨 달? 5월에는 참 많은 기념일들이 모여있습니다. 5월 5일 ‘어린이날’, 5월 8일 ‘어버이날’, 5월 16일 ‘성년의 날’, 5월 21일 ‘부부의 날’…그래서 가정의 달인가 봅니다. 그러...

발행일 2022.06.02. 칼럼&스토리

[모집] 20대 대선 청년서포터즈를 모집합니다.

경실련과 함께 20대 대선 캠페인을 진행할 청년서포터즈를 모집합니다. - 신청: https://bit.ly/bigvote22 - 모집기간: 2021.12.20 ~ 12.31 - 모집인원: 50명 내외 - 대상: 선거로 정의로운 대한민국을 만드는데 관심있는 청년 누구나 - 활동기간: 2022.01.17. ~ 03.08 - 활동내용: 후...

발행일 2021.12.21. 칼럼&스토리

[청년좌담회] 청년이 말하는 2021 한국사회

[월간경실련 2021년 7,8월호][청년좌담회] “청년의 대표자가 아닌, 청년의 한 사람으로서 말합니다” 청년이 말하는 2021 한국사회 문규경 회원미디어국 간사   최근 세간의 주목을 받고 있는 이슈가 있습니다. 바로 ‘2030 청년의 목소리’입니다. 4.7 보궐선거를 비롯하여 청년들의 정치적 영향력이 커지고 있습니다. 정치권에서는 청년층...

발행일 2021.07.28. 칼럼&스토리

[인터뷰] “청년층의 서울 과밀 해소해야”

[월간경실련 2021년 1,2월호 – 인터뷰] “청년층의 서울 과밀 해소해야” 김헌동 경실련 부동산건설개혁본부장   김민준 경실련 인턴 아파트 시세가 연일 상승하며 무주택자들이 ‘벼락거지’ 신세로 전락했다. 김헌동 경실련 부동산건설개혁본부장은 부동산 가격 상승의 1차 피해자는 청년이라고 강조한다. 부동산 시장의 주요 참여자가 아닌 20대 청...

발행일 2021.02.09. 칼럼&스토리

[특집/시민인터뷰] 우리의 일상은 어떻게 달라졌을까?

[월간경실련 2021년 1,2월호 – 특집. 코로나19와의 불편한 공존(4)] 코로나19가 가져온 새로운 세상, 우리의 일상은 어떻게 달라졌을까? 회원미디어국 2019년 12월, 중국에서 ‘코로나19’가 최초로 발견됩니다. 그로부터 한 달 뒤, 2020년 1월 코로나19는 한국에도 상륙하여 1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우리 곁에서 사라지지 않고 있...

발행일 2021.02.09. 칼럼&스토리

청년 농업인 육성, 지역 차원에서 논의해가자

[월간경실련 2019년 5,6월호] 청년 농업인 육성, 지역 차원에서 논의해가자   김기흥 농업개혁위원회 위원(충남연구원 책임연구원)   최근 청년층 육성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문재인 정부 100대 국정 과제 가운데 직접적으로는 청년과학자(과기정통부)가 언급되고 있고, 세부적으로는 일자리 경제(고용부, 복지부)나 공정경제(기재부)와 관련해...

발행일 2019.05.27. 칼럼&스토리

[19대 대선 공약 평가] 6.청년(일자리, 등록금, 주거) 공약 평가

* 평가단 구성 나병현(서울대 강사), 고경일(백석대 경상학부), 노상헌(서울시립대 법학전문대학원), 서순탁(서울시립대 도시행정학과) 남은경(경실련 도시개혁센터 팀장), 권오인(경실련 경제정책 팀장), 김성달(경실련 부동산국책 팀장) 1. 총평 [등록금] ○ 공약이 없는 유승민후보를 제외하고 수준의 차이는 있으나 등록금 부담인하를 공약...

발행일 2017.04.28. 보도자료

역세권 2030 청년주택’, 청년층 주거안정이 아니라 사업자 특혜·부동산거품 조장 정책

서울시 ‘역세권 2030 청년주택’, 청년층 주거안정이 아니라 사업자 특혜·부동산거품 조장 정책이다. - 임대주택 확보위해 고가월세 뉴스테이 확대하는 정책 - - 단순 임대주택 늘리기대신 청년층의 주거비 부담을 낮출 수 있는 정책 필요 - 1. 어제(26일) 사업설명회를 진행한 서울시의 ‘역세권 2030 청년주택(청년주택)’이 저렴한 임대주택 ...

발행일 2016.04.27. 보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