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사회

13건이 검색 되었습니다.

[기자회견] 거대 양당은 밀실야합 선거제 퇴행 중단하고, 국민을 위한 선거제도 개혁에 적극 나서라!

선거제도 개혁촉구를 위한 보수-진보 등 시민사회 공동기자회견 거대 양당은 밀실야합 선거제 퇴행 중단하고 국민을 위한 선거제도 개혁에 적극 나서라! ▪ 일시 장소 : 2023. 11. 6. (월) 오전 10:00, 국회 소통관 기자회견장 1. 오늘 오전 10시 국회 소통관에서 범시민사회단체연합·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주권자전국회의·헌법개정국...

발행일 2023.11.06. 보도자료

[시사포커스] 민간단체보조금 감사결과 발표를 통해 본 윤석열 정부 시민사회 정책의 문제점과 우려

[월간경실련 2023년 7,8월호] [시사포커스(4)] 민간단체보조금 감사결과 발표를 통해 본 윤석열 정부 시민사회 정책의 문제점과 우려 류홍번 시민사회활성화전국네트워크 운영위원장 지난 6월 5일 윤석열 정부는 29개 부처 합동으로 실시한 최근 3년간의 민간단체 국가보조금 감사 결과를 발표하였다. 12,133개 단체에 지급된 6.8조 보조금 ...

발행일 2023.07.31. 칼럼&스토리

[현장스케치] 국회의원 선거제 개혁 논의, 어떻게 해야 하나?

[현장스케치] 국회의원 선거제 개혁 논의, 어떻게 해야 하나? - 국회와 양당 중심 선거제도 개편 논의, 대단히 우려스러워 - 지금이라도 시민사회 의견 수렴하고, 쟁점별 토론 진행해야 - 공론화 조사에서 절차적 투명성 담보 없이는 정당성 얻기 어려워 1. 오늘(23년 4월 26일) 오후 2시, 국회의원회관 제9간담회실에서 “국회의원 선거제 ...

발행일 2023.04.26. 보도자료

[활동가가 주목하는 이슈] 탕수육 찍먹 논쟁과 시민사회

[월간경실련 2022년 9,10월호-우리들이야기(3)활동가가 주목하는 이슈] 탕수육 찍먹 논쟁과 시민사회 - 극단의 위험성 - 임정택 수습간사 탕수육 찍먹? 탕수육 ‘부먹’과 ‘찍먹’.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모르시는 분들 위해 간단히 말씀드리면, 튀김에 양념 버무리면 부먹, 소스에 고기 찍어 먹으면 찍먹이죠. 고작 이게 주목하는 이슈...

발행일 2022.09.30. 칼럼&스토리

[동숭동칼럼] 윤석열 대통령의 시민사회를 바라보는 시각

[월간경실련 2022년 9,10월호][동숭동칼럼] 윤석열 대통령의 시민사회를 바라보는 시각 윤순철 사무총장 윤석열 정부는 시민사회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을까? 건전한 협력관계일까, 귀찮은 존재일까? 앞으로 어떻게 관계 맺기를 원할까? 윤석열 정부의 시민사회를 바라보는 시각은 최근의 3가지 사례에서 드러나고 있다. 하나는 제20대 대통령선거 국...

발행일 2022.09.28. 칼럼&스토리

[7/24] 정전 60주년, 동아시아 평화와 한반도 평화체제를 위한 심포지엄

          -> 식사 및 기념품 제공   바로 신청하기 (간단한 정보 입력)  

발행일 2013.07.16. 공지사항

[토론회] 위기의 정당, 위기의 시민사회

경실련, 정당과 시민사회의 위기를 논하다 경실련은 지난 8일 “위기의 정당, 위기의 시민사회”의 주제를 가지고 토론회를 개최했다. 정당이 국민적 여론을 모아 정책을 만들거나 제시하여 국민과 정부를 연계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실패하고 있으며, 시민사회의 정치화, 관료화 등으로 마치 시민단체가 정계진출을 하는 데 있어 발판이 되고 있는 현상에...

발행일 2012.11.09. 보도자료

[11/8] "위기의 정당, 위기의 시민사회" 정책토론회

 

발행일 2012.10.27. 공지사항

[9/12] 18대 대선과 반부패정책과제 토론회 개최

경실련/참여연대/한국YMCA전국연맹/한국투명성기구/흥사단투명사회운동본부 이상의 시민사회 5단체는 올해 대통령 선거과정에서 부패 없는 한국사회를 위해 반드시 채택해야 할 정책과제를 논의하는 토론회를 개최합니다.  <오시는길> 서울특별시 중구 명동 1-1-1 서울ywca 강당 (4층) tel -3075-6000 지하철...

발행일 2012.08.24. 공지사항

위원회 설치가 끝 아니다

  ⑨ 고분양가 잡기, 행동이 중요하다  <관련기사 목록>  * 후분양제-원가공개, 고육책 아닌 실천이다  * <후분양제 바로알기> 후분양제에 대한 진실 혹은 거짓 * <후분양제 도입 이후 달라질 것들> 주택청약저축 등 재검토 불가피 * <후분양제, 실천이 중요하다> 거역할 수 없는 흐름,...

발행일 2006.10.10. 보도자료

후분양제에 대한 진실 혹은 거짓

  ⑨ 고분양가 잡기, 행동이 중요하다  <관련기사 목록>  * 후분양제-원가공개, 고육책 아닌 실천이다  * <후분양제 바로알기> 후분양제에 대한 진실 혹은 거짓 * <후분양제 도입 이후 달라질 것들> 주택청약저축 등 재검토 불가피 * <후분양제, 실천이 중요하다> 거역할 수 없...

발행일 2006.10.10. 보도자료

[후보자 97% 분양원가공개 찬성] 혼란스럽기만한 원가공개

  분양원가공개는 참여정부 출범이래 가장 혼란스러웠던 부동산 정책 중 하나다. 2003년 5월에는 정부가 주도해 분양원가공개를 검토하고 후분양제 도입 세부 일정까지 추진한 적도 있었다. 더구나 지난 2004년 총선에서는 여당의 선거 공약이었다. 하지만 노무현 대통령을 비롯한 관료출신 정치인들의 ‘분양원가공개 불가’ 방침이 현재 참여정부의 원가연동...

발행일 2006.07.28. 보도자료

지방자치헌장

  지난 3월 22일, 청주 예술의 전당에서 있었던 자치헌장선포식에서 발표된 자치헌장 전문입니다.   자치헌장은 지난해 말부터 학계에서 본격적으로 논의가 시작되었고 올해 초 300여개가 넘는 시민사회단체와 200여명의 학계인사가 함께 참여해서 제정되었습니다. 지방자치헌장   지방자치제도는 제헌헌법에 의하여 도입되었으나 1952년...

발행일 2001.03.27. 보도자료